'꽝씨 폭포'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02.21 [9월 8일] 하늘을 품은 메남콩(루앙프라방 꽝씨 폭포, 메콩강)
싸바이디, 라오스2015. 2. 21. 12:01

[9월 8일] 하늘을 품은 메남콩(루앙프라방 꽝씨 폭포, 메콩강) 


아빠 옆에서 자던 동욱이가 어슴푸레 잠에서 깼는지, 아빠를 꼭 껴안는다. 그러다 잠시 후, 화들짝 놀라 깬 녀석이 엄마 침대로 후다닥 넘어간다. 그럼 그렇지. 이 녀석이 웬일로 아빠를 껴안나 싶었다. 엄마라고 생각해 껴안았는데 느낌이 그게 아니었던 거다. 


그런데 이미 엄마 품을 장악하고 있던 동호가 가만있을 리 없다. 두 녀석의 엄마 쟁탈전은 언제나 끝이 날지 모르겠다. 한쪽은 동욱이, 한쪽은 동호, 이렇게 똑같이 나누면 될 텐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누군가 한 명이 온전히 엄마를 차지해야 한다. “당신을 잃느니 반쪽이라도 갖겠어.” 영화 글루미썬데이의 치명적 사랑은 현실에서는 절대 불가능해서 매력적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오전에는 내내 침대에서 빈둥대며 여행 책자를 넘겼다. 오늘은 또 뭘 하면서 알차게 보낼 수 있을지 궁리하며 말이다. 결론은 꽝씨 폭포. 시간이 허락하면 빡우 동굴까지, 루앙프라방 외곽을 돌아보는 일정으로 잡았다.


숙소에서 나오면서 비엔티안으로 돌아갈 비행기를 예약했다. 시내로 나가 여행사에서 예약하려 했으나, 숙소 지배인이 언제 돌아가느냐, 비행기는 예약했느냐, 안 했으면 여기서 하시라, 인터넷으로 비교해 보고 비싸면 안 해도 좋다며 갖은 친절을 베푸는 바람에 등 떠밀리듯 예약을 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바가지. 1인당 90달러에 예약했으나, 시내에서 물어보니 75달러까지도 하더라. 행사 가격이니 취소할 수 없다는 말을 했을 때 알아봤어야 했다. 


꽝씨 폭포는 루앙프라방에서 남쪽으로 35km 떨어져 있다. 뚝뚝을 잡아타야 하는데, 시내에서는 200,000낍 정도 든다고 한다. 우리는 과감하게 숙소에서 콜서비스를 받았다. 비용은 250,000낍이다.





1시간을 달려 도착한 꽝씨 폭포 앞은 흡사 한국의 여느 관광지처럼 느껴졌다. 음식점과 각종 기념품 가게들이 줄지어 서 있었다. 입장료를 내고 들어가니 자연휴양림 느낌이다. 







폭포에서 흘러나온 계곡을 따라 난 산책길로 접어드니 야생에서 구조된 곰을 보호하고 있는 곰보호센터가 나온다. 역시나 기념품 가게가 있고, 불쌍한 곰에게 마음을 빼앗겨 조그만 반달곰 인형을 하나 샀다. 


폭포에서 흘러나온 물의 양은 엄청났다. 여러 개의 작은 폭포를 계속 만들어 내며 계곡을 이루고 있었다. 곳곳에는 커다란 웅덩이가 만들어져 자연스레 수영장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물살도 빠르고 깊이도 알 수 없어 수영할 엄두는 나지 않았다.











30여 분을 걸어 오르니, 마침내 꽝시 폭포가 모습을 드러냈다. 50미터가 넘는 높이에서 쏟아지는 폭포수가 어찌나 어마어마하고 혼란스러운지, 우주의 탄생과 팽창의 비밀이 담긴 빅뱅이 이러하지 않았을까 싶었다. 폭포를 배경으로 멋지게 사진 한 컷 남기고 싶은 바람은 사방팔방으로 흩뿌려지는 폭포수 아래에서 거품처럼 소멸했다. 오직 아이들만 신이 나서 여기저기 뛰어다니며 꽝씨 폭포에 흠뻑 젖어들었다.








다시 루앙프라방 돌아와 늦은 점심을 먹고 카페에서 커피를 마셨다. 사실 라오스 음식이 입맛에 안 맞아 먹는 게 늘 즐겁지 않았는데, 오늘 점심은 참 맛있게 먹었다. <The Coconut Garden>, Stir Fried Chicken with Garlic, Fried Rice with Chicken, Papaya Salad. 기분 좋게 배가 부르니 또 어디론가 가는 게 귀찮아졌다. 시간이 어중간하게 늦기도 했고. 그래서 빡우 동굴은 생략하고 메콩강변으로 향했다. 뉘엿뉘엿 떨어지는 햇살을 받은 왓 농씨쿤므앙(Wat Nong Sikhunmuang)이 반짝거린다.





길거리를 어슬렁거리는데 옥폽똑(Ock Pop Tok)이라는 가게가 눈에 들어왔다. 각종 스카프와 옷, 가방 등 전통 수공예품을 파는 가게다. 물건들이 하나같이 매우 예뻐 눈길이 분주했지만, 값이 너무 비싸 지갑이 쉬 열리진 않았다. 안타까운 마음은 바로 옆에 있는 서점에서 라오스 지도를 한 장 사는 걸로 위로받을 수밖에 없었다.


메콩강변에 도착하니 마침 해가 뉘엿뉘엿 떨어진다. 해가 지면 메콩강은 하늘을 품는다. 낮에 세상을 품어 투박하고 무겁고 뜨거웠던 강이 물 본연으로 돌아가는 듯했다.





메콩강의 어원은 ‘어머니의 강’이란 뜻의 메남콩(Mae Nam Khong)이다. 라오스의 젖줄 메콩강은 세계에서 열두 번째로 길고, 열 번째로 수량이 많다. 또 각종 생물자원은 아마존강 유역에 이어 두 번째로 풍부하다. 마시고 씻는 것은 물론이고 농업과 어업에 교통과 관광까지, 라오스의 모든 것이 메콩강에서 비롯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메콩강은 티베트에서 발원해 중국, 버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을 거쳐 인도차이나 해로 흐른다. 라오스와 태국이 메콩강으로 나뉜 것은 제국주의 시대의 산물이다. 애초 라오족은 메콩강 주변으로 흩어져 살았는데, 1893년 프랑스와 태국 간의 국경선 획정 조약으로 별안간에 국경선이 그어져 서로 다른 국민이 되었다. 아직도 메콩강 인근 태국 땅에 사는 라오족은 소수민족의 아픔을 간직하고 있다. 


지금껏 국경이란 늘 지도 위에 그어진 실선에 불과했다. 아니면 휴전선의 철조망으로 기억되거나. 그러니 눈앞의 메콩강이 국경선이란 게, 강 건너 저쪽이 태국이란 게 좀처럼 실감 나지 않는다. 실존하지 않는 가상으로써 이처럼 위력적인 존재가 어디 또 있을까. 끝도 시작도 아닌 곳, 국경의 밤은 까닭 없이 모호하고 애잔했다.









Posted by alternative